# BOM(Bill of Material)
제품에 들어가는 회로 기판(PCB)을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부품 정보, 수량, 위치, 비고 사항이 정리된 표이다.
회로 개발이 완료되면 회로도, 아트워크(거버 파일), 데이터 시트와 함께 BOM 리스트를 꼭 받아두어야 한다.
# 1. 파트 넘버, 수량
- BOM 리스트에는 각 부품별 임의의 넘버와 함께 부품 별 수량이 기재되어있어 총 몇 종류의 부품을 어느 만큼씩 사용하는지 알 수 있다. 향후 회로 양산 비용을 가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.
# 2. 레퍼런스 코드
- BOM 리스트에는 회로도, 아트워크와 대조할 수 있도록 레퍼런스 코드가 지정되어 있다. 보통 특정 부품을 나타내는 알파벳과 숫자를 통해 표기된다(ex. 8번째 다이오드 "D8")
- Q - 트랜지스터
- D - 다이오드/LED (LED는 별도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.)
- C - 콘덴서(=캐패시터)
- R - 레지스터(=저항)
- J - 점퍼(=커넥터)
- U - MCU 혹은 집적회로
- L - 인덕터
#3. 디스크립션(=size로 표기해주는 곳도 있다.)
- 부품의 사이즈를 비롯한 부품 타입, 용량, 성능 수치 등 기타 부품 상세 정보를 기록해준다.
- 부품의 옵션 사항들도 같이 기입해준다.
- 저항(R) / 캐패시터(C)는 사이즈를 코드로 적어주는데, 0402, 0603과 같이 겹치는 숫자가 있으니 작성 담당자에게 단위가 mm인지 inch인지 확인을 하는 것이 안전하다.
#4. MFG P/N (메뉴팩처링 코드 혹은 part라고 표기한다.)
- 제품의 고유 모델명을 기입한다.
- 해당 부품의 검색이 용이하도록 비고란에 데이터시트를 볼 수 있는 URL을 공유하는 경우도 많다.
#5. 기타사항
- "NC"로 표기된 경우는 해당 부품을 실장 하지 않는다(향후 스펙 상승, 회로 안정성 향상 등 변경의 여지가 있는 경우 추가 부품을 놓을 수 있는 루트를 개설해 놓기도 한다).
- 제품 설명란(디스크립션)에서 설명하지 못한 기타 사항들을 기입해 놓는다.
- 제품 구매 URL 혹은 데이터시트 URL을 달아놓는다.
'직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usion 360] Rendering _ Scene setting (0) | 2021.03.04 |
---|---|
[Fusion 360_CAM] tool library_cutting data 설정 (툴 라이브러리, 커팅데이터, 피드, 스피드, 플런지, 램프, 리드인, 리드아웃) (0) | 2021.02.16 |
[제품개발 PM/금형] 금형 발주 시 꼭 알아야 할 금형 상식 1_금형(몰드)의 정의, 사출 금형의 주요 구조 명칭 (0) | 2020.12.08 |
[네트워크]실리캠(SILICHEM) 실리콘 소재 제작 (0) | 2020.11.27 |
[201118 INSIDE 3D PRINTING 전시회 방문_컨퍼런스 내용 요약] (0) | 2020.11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