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엔드밀의 종류
- 엔드밀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, 기본적으로 두 가지를 알고 있으면 좋다.
Ball endmill (=볼밀, 볼 엔드밀) : 좌측과 같이 끝 부분이 동그랗게 되어있는 엔드밀로 곡면 가공(3D)에 많이 사용된다.
Flat endmill (=플랫 엔드밀) : 우측과 같이 끝부분이 일자로 되어있는 엔드밀로 평면 가공(2.5D)에 많이 사용된다.
# 엔드밀의 재질
1. 가공 관련 이야기를 할 때 주로 이야기하게 되는 엔드밀의 재질은 초경과 고속도강(하이스강)이다.
2. 재질의 강도는 카바이드(초경) > 코발트 > 코팅 이며, 자주 언급되는 소재는 아래 두 가지이다.
- 초경(=카바이드) : 탄화물을 사용하여 강화한 소재로 고속도강에 비해 매우 단단하고 열에 강해 고속 가공에 많이 사용된다. 단 충격에는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.
- HSS (=고속도강) : 텅스텐 합금으로 제작된 엔드밀로 절삭력은 오히려 초경보다 좋지만 상대적으로 소재가 무른 만큼 날이 쉽게 무뎌진다는 단점이 있다. 초경에 비해 질기기 때문에 쉽게 부러지지 않는 특징을 이용해 황삭 과정에서 많이 사용된다.
# 엔드밀 치수 읽는 법
- 엔드밀에서 꼭 알아야할 치수는 날치수, 날장, 전장(엔드밀 전체 길이), 샹크 치수 4가지이다.
- 보통 3가지 혹은 4가지 숫자로 표기가 되어있으며, 볼밀은 R(반지름)으로, 플랫 엔드밀은 파이로 표시한다.
- 규격 표기는 업체마다 다를 수 있으나 통상 "날 직경(혹은 날 반경) * 날장 * 전장"으로 표기한다(샹크 직경 혹은 엔드밀의 팁 R값들을 추가로 표기하여 4개의 치수로 표기하는 경우들도 있다).
ex1. ø6 X 20 X 60L - 직경이 6mm인 평 엔드밀로, 날장은 20mm 전장은 60mm이다.
# 엔드밀 특성
- 엔드밀은 옆면으로 깎는 용도로 제작되어있기 때문에 밀링가공 시에 축방향(Z) 방향으로 큰 힘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(반대로 드릴 비트은 옆으로 힘을 받으면 안 된다).
- 위의 특성으로 인해 엔드밀은 일부러 앞코가 힘을 받지 않도록 앞코를 안쪽으로 깎아 날보다 더 안으로 들어가게 만들어 주기도 한다.
#기타 가공 관련 팁
1. 엔드밀은 축방향으로 밀고 들어가는 힘은 약하기 때문에 드릴 비트를 사용해야 한다.
2. 홀가공의 경우, 3파이 이하로 센터 점을 잡은 뒤 점차 반경이 큰 비트로 넓혀가며 작업해야 한다(ex. 15파이 가공 : 3>6>10>14>15).
3. 정확한 치수로 홀 가공을 하는 경우, "리머"라는 도구를 사용한다.
4. 드릴링할 때는 균일하게 연속된 칩이 나와야 치수가 고르다. 칩이 자꾸 끊어지면 안 된다.
5. 드릴링을 하면 비트가 미세하게 떨면서 적힌 치수보다 0.1~0.2정도 넓게 가공되기 때문에 0.2mm 정도 더 작은 치수로 가공하는 것이 안전하다.
'직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usion 360] Rendering _ Scene setting (0) | 2021.03.04 |
---|---|
[Fusion 360_CAM] tool library_cutting data 설정 (툴 라이브러리, 커팅데이터, 피드, 스피드, 플런지, 램프, 리드인, 리드아웃) (0) | 2021.02.16 |
[제품 개발 PM/회로] PCB BOM을 읽을 때 알아야 할 상식 (회로도, 봄리스트, 파트리스트, SMT, 부품 리스트) (0) | 2021.02.08 |
[제품개발 PM/금형] 금형 발주 시 꼭 알아야 할 금형 상식 1_금형(몰드)의 정의, 사출 금형의 주요 구조 명칭 (0) | 2020.12.08 |
[네트워크]실리캠(SILICHEM) 실리콘 소재 제작 (0) | 2020.11.27 |